여정의 기록

[정보통신망] 데이터 통신의 기초와 요소 본문

공부중 .../정보통신망

[정보통신망] 데이터 통신의 기초와 요소

Chelsey 2022. 5. 31. 01:07
728x90

데이터 전송방식

전송 방향

단방향 전송 simplex transmission

정보의 전달 방향이 한 방향인 데이터 전송 방식

ex) 라디오, 텔레비전 방송, 키보드와 모니터, 일방통행

 

반이중 전송 half-duplex transmission

정보의 전달 방향이 교대로 이루어지는 데이터 전송 방식

2개의 통신 채널 필요

정보 흐름 방향 전환 시간이 필요

ex) 무전기, 예의 바른 대화

 

전이중 전송 full-duplex transmission

동시에 양방향 모두 전송 가능한 데이터 전송 방식

5개의 통신 채널 필요

ex) 전화기, 채팅


전송 모드

병렬 전송 parallel transmission

부호화된 코드의 모든 비트가 동시에 전송

근거리 데이터 전송

속도가 빠르고 고가

 

직렬 전송 serial transmission

원거리 데이터 전송

속도가 느리고 가격이 저렴


전송 동기

직렬 전송의 경우, 수신되는 비트들을 문자 단위로 구분할 수 있어야 함

 

동기 synchronization

비트 동기

  • 송수신측에 동일한 클록(데이터를 받고 저장) 사용
  • 1k/sec 으로 200bps를 보내면 받는 것도 그만큼 받아야 함

문자 동기

  • 비트 동기로 정확한 비트들 검출 후 비트들을 그룹을 지어 원하는 문자를 구성하는 방법
  • 문자를 구성하는 비트수, 전송속도를 정확히 알면 -> 비트들을 카운트하여 각 문자 구성함
  • 어떤 비트가 문자의 첫 번째인지 결정하는 문제
  • 문자 동기를 위한 두 가지 전송 방법
    • 동기식 전송
      100bit를 묶어서 동시에 보낸다
      전송제어 문자 SYN(1/06 : 00010110) 사용
      SYN이 등장하면 그 이후의 것들의 데이터를 동기식으로 받아들여라
          -> 오동기 : SYN의 위치가 애매하면 데이터 시작부위를 잘못인식할 수 있다
          -> 진동기 : 그래서 SYN SYN 이렇게 두번 나오면 진짜 동기식 전송으로 받아들이도록 해라
    • 비동기식 전송
      100 bit 모두 한 번에가 아니라 한 번에 한 문자씩 보낸다
      asynchronous transmission
      start/stop transmission
      문자 사이에는 특별한 시간적 제약 없음
      문자의 첫 번째 비트 검출 : start pulse 사용
      문자의 끝 : stop pulse

      수신체가 신호 감청, pulse가 0 인지 1 인지 위에 있는지 아래에 있는지를 파악 해야함 
      처음과 끝을 파악해야하기 때문에 두 번 오버헤드 비트가 존재하게 된다.

전송 효율

정보 비트수 / 총 전송 비트 수 * 100%

 

동기식 전송, 비동기식 전송 효율 비교

동기식은 한 번에 정보원 -> 수신체로 가지만

비동기식 전송은 조금이라도 시간의 간격이 존재한다.

 

동기식 전송의 전송 효율

* 1000개의 ASCII 문자블록의 전송 효율

블록 앞에 SYN 3개 사용

총 전송 비트수 = (1000+3) * 8bit/문자 = 8024 bit

정보 비트수 = 1000 * 8bit/문자 == 8000 bit

전송 효율 = 8000/8024*100=99.70%

 

비동기식 전송

각 글자마다 오버헤드 비트 2개 사용(start pulse, stop pulse 각 1개)

총 전송 비트수 = 1000 * (8+2)bit/문자=10000bit

정보 비트 수 = 1000 * 8bit = 8000bit

전송 효율 = 8000/10000*100=80.0%

 


통신선로

2선식과 4선식

2선식

  • 신호선(데이터가 오가는)과 공통 접지선이 2개로 구성
  • 주로 저속 회선에서 사용
  • 반이중 통신

4선식

  • 신호선, 공통 접지선 4개로 구성

점 대 점 선로

통신 네트워크의 기본 요소

점 대 점으로 두 단말기를 직접 연결하는 통신 선로

전용선(연속적 데이터 전송에 적합)

성형 start 네트워크

통신 비용 비쌈

멀티드롭 선로

선로 공유

느린 속도

저렴

선로 통신용량의 공유

 - 전용선보다 통신선로의 효율성 높음

 - 데이터 충돌 가능 -> 선로제어 프로토콜 필요

멀티드롭 선로 연결 단말기 - 단말기 수 제한 요인 

   1.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처리능력

   2. 단말기에서 발생하는 트래픽

   3. 선로의 통신 속도

   4. 통신사업자의 강제적 제약

 

집선 선로

집선 line concentrating

다수 회선으로부터 호출을 집약하여 그보다 적은 수의 중계선으로 전송하는 것

 

집선선로

일정한 지역 내에 있는 중심 부분에 집선장치를 설치한 후 여기에 단말기를 여러 대 연결한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