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정의 기록
[후기] 코딩 자율학습 스프링 부트 3 자바 백엔드 개발 입문 본문
스프링 부트3을 공부를 시작하며, 어려운 난관을 겪었었다.
그럴때 마다 구선생님에게 물어보며 해결해나가기도 했지만,
구선생님에게 물을 때는 질문을 잘 해야 내가 필요로하는 정보를 얻을 수 있다는 주의사항이 있다.
그러던 중 코딩 자율학습 스프링 부트 3 자바 백엔드 개발 입문 책을 만났다.
최근들어 전자책을 많이 보다보니 종이책은 오랜만이라 종이 냄새가 아주 반갑고 좋았다.
나는 이 책을 읽을 때 A to Z 로 전부 따라하면서 읽지 않았다.
앞서 다른 Spring boot 강의를 들었기 때문에 궁금한 내용만 펼쳐 보았다.
입문자인 나에게 아주 알맞게, 입문자인 내가 궁금해할 만한 내용들이 모여있다.
개발을 하다 막힐 때마다 봤던 책
메모지와 관련된 웹 프로젝트를 진행할 때, 글 수정, 삭제 기능을 넣는 것이 어려웠었다.
POST와 GET과 다르게 PUT, DELETE는 다른 설정을 추가로 해줘야했었는데,
1. 추가로 다른 설정을 해줘야 한다는 점, 2. 어떤 것을 추가로 해줘야하는지 - 입문자이자 독학으로 기술을 익히고 있던 나에게는
아주 어려운 부분이었다.
당시 다양한 에러와 다양한 시행착오 끝에 PUT과 DELETE를 적용할 수 있었는데,
책을 받고나서 책을 펼쳐보니, 그 내용을 바로 볼 수 있었다.
입문책을 먼저 봤더라면 책에서 바로 정보를 받아 나의 웹 프로젝트에 적용해볼 수 있었을 텐데,
- 괜히 시간낭비를 한 것 같은 생각이 들었다.
스프링 부트3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기능을 만들다보면,
그래서 도대체 데이터가 어떻게 되는거라고? 라며 혼돈이 올 때가 있다.
해당 책에서는 클라이언트의 데이터가 어떻게 어디로 전송되는지 잘 파악할 수 있도록
그림도 같이 제시해준다. 해당 그림은 프로젝트의 구조를 도식화하여 보여주는데,
이해하는데 매우 큰 도움이 되었다. 사실 객체니 뭐니 이미 익숙한 사람들에게는
아무렇지 않은 명사들은 나에게 아주 어려운 것들이었는데,
우리가 만들어가는 프로젝트의 구조를 도식화하여 데이터의 전송 과정을 보여주니
이해하는데 큰 도움이 되었다.
그림뿐만 아니라 글도 잘 정돈되어 설명해주기 때문에 꼬리물기로 지식을 더 찾아보는데도
아주 유용하게 사용되었다 (나에게) , 비전공자들이 이해하는데도 무리없을 듯 하다.
아마 앞으로도 궁금한게 있을 때마다 책을 살펴볼 것 같다.
프로그래밍을 배우기 시작할 때 ' 책으로 배우기 vs 인터넷에서 바로 찾아 적용하며 배우기 ' 라는 논쟁을 종종 본적이 있다.
이번 경험을 바탕으로 내 느낀점을 말해보자면, 입문자는 책을 먼저 보는 것이 좋겠다.
어느정도 시스템을 알아야 무엇을 알아야하는지 무엇을 궁금해해야하는지 알 수 있다.
그런 시스템은 여기저기 흩뿌려진 정보가 아닌, 하나로 모아져있는 책을 가이드 삼아 이용하면,
효율적으로 공부를 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