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정의 기록
정보처리산업기사 시험대비 본문
728x90
정보처리산업기사 시험대비
1. 입력설계
- 입력설계 순서
입력정보의 발생 -> 입력 정보의 수집 -> 입력정보의 매체화 -> 입력정보의 투입 -> 입력정보의 내용
입력할 데이터가 발생해서부터, 모아지고, 매체화 되어, 투입을 통해, 저장될 때까지의 과정
시스템에 입력할 정보가 발생하면, 이를 수집하고, 시스템에서 입력 자료로 사용이 가능하도록 적당한 매체로 변환하여, 투입합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입력 정보의 내용을 확인합니다. - 입력 매체 장치 선택 시 검토 사항
시스템의 이행 방법 및 운용 비용, 입력 정보 발생분야에서의 업무 특성, 입력 매체와 매체화 장치의 특성, 출력 정보를 이용할 시점에 맞게 투입 - 데이터 입력 방식
1. 집중 매체화 시스템 : 발생한 데이터를 전표상에 기록하고, 일정 시간 단위로 일괄 수집하여 입력 매체에 수록하는 방식
2. 분산 매체화 시스템 : 데이터를 발생한 장소에서 매체화하여 처리하는 방식
3. 턴 어라운드 시스템 : 입력된 자료가 처리되어 일단 출력된 후 이용자를 경유하여 다시 재입력되는 방식. 공과금, 보험료 징수 등의 지로 용지를 처리하는데 사용됨 - 원시 전표 설계시 ‘기입의 측면’ 에서 고려사항
fast, exactly, easy 기입할 수 있어야함
가입 항목은 가능한 a little, simple 하게 적을 수 있어야 함
전표 번호나 발행 주문과 같은 고정 항목은 미리 인쇄하거나 선택할 수 있게 함
일정한 순서대로 기입할 수 있어야 함
혼란을 초래할 우려가 있는 것은 기입 요령을 명시해야 함
2. 출력 설계
- 출력 설계 순서
출력 정보의 내용 -> 출력 정보의 매체화 -> 출력 정보의 분배 -> 출력 정보의 이용
출력 설계는 저장되어 있는 내용을 매체화하고 분배하여 이용할때까지의 과정 - 출력 정보 내용에 대한 설계
출력할 항목과 명칭, 출력 항목의 배열 순서, 크기 자릿수, 출력 항목의 문자 표현방법, 출력 항목에 대한 집계 방법, 출력 정보의 오류 검사 방법을 결정함 - 출력 정보 매체화에 대한 설계
출력 형식, 출력 매체 및 장치, 출력 정보의 양과 출력 복사의 매수, 출력 장소와 출력시기 및 주기, 출력 배열 순서를 결정함 - 출력 정보 분배에 대한 설계
분배 책임자, 분배 방법 및 형태, 분배 경로, 분배 주기 및 시기에 대해 결정함 - 출력 정보 이용에 대한 설계
출력 정보명과 출력 정보의 이용 목적, 출력 정보의 이용자와 이용 경로를 결정함 - COM system
출력 정보를 마이크로 필름에 수록하는 것으로, 축소 보관과 반영구적 보관이 가능하고, 지도, 설계 도면, 학적부, 병원의 기록 등을 보존, 검색, 관리하기에 적합한 방식
3. 파일 설계의 기본
- 비블록화 고정 길이 레코드
하나의 논리 레코드를 그대로 전송하는 방식으로 레코드의 수만큼 입/출력이 발생하므로 시간낭비가 많고, 경제성이 좋지 않음 - 블록화 고정 길이 레코드
길이가 동일한 여러 개의 논리 레코드를 묶어 하나의 블록으로 구성한 형태로, 프로그램의 작성이 쉽고, 속도가 빠르며, 경제성이 좋다 - 비블록화 가변 길이 레코드
길이가 다른 하나의 논리 레코드를 그대로 전송하는 방식으로, 레코드의 길이 정보를 반드시 표시해야 하며, 프로그램의 작성이 어렵고, 시간이 낭비되며, 경제성이 좋지 않음 - 블록화 가변 길이 레코드
길이가 서로 다른 여러 개의 논리 레코드를 묶어 하나의 블록으로 구성한 형태로, 각각의 레코드와 블록의 길이 정보를 반드시 표시해야 하며, 프로그램의 작성이 어렵지만 처리 속도가 빠르며 경제성이 좋음
파일의 분류
파일의 분류에는 매체에 의한 분류, 내용에 의한 분류, 파일 편성법에 의한 분류
매체에 의한 분류 : 직접 저장장치 - 자기디스크, 자기드럼
순차 저장장치 - 자기 테이프
내용에 의한 분류 : 데이터 파일, 프로그램 파일, 작업 파일이 있으며, 데이터 파일의 종류는 아래와 같음
- 마스터 파일 : 전표 처리에서의 원장 또는 대장에 해당하는 파일로, 자료 관리의 중추적 역할을 담당하며 기본이 되는 파일임, 트랜잭션 파일에 의해 갱신됨
- 트랜잭션 파일 transaction File : 거래 내역이나 변동 내용 등 일시적인 성격을 지닌 정보를 기록하는 파일로, 마스터 파일을 갱신하거나 조회할 때 사용함
- 요약 파일 summary file : 다른 파일의 중요 내용이나 합계를 요약해 놓은 파일로, 집계용으로 많이 사용됨
- 히스토리 파일 history file : 후일 통계 처리에 사용할 자료나 사고 발생 시 마스터 파일 등을 복구시키기 위한 자료를 보존한 파일
- 트레일러 파일 trailer file : 마스터 파일을 목적에 따라 여러개의 파일로 나누었을 때 가장 끝부분에 해당하는 파일
파일 편성법에 의한 분류
순차 편성 파일, 색인 순차 편성 파일,랜덤 편성 파일, 리스트 편성 파일 등
Software Life Cycle SLC 소프트웨어 생명 주기
6단계
1단계 : 요구 분석
2단계 : 시스템 명세
3단계 : 설계
1. 시스템 구조 설계 : 모듈간의 관계와 구조 설계
2. 프로그램 설계 : 프로그램 내의 각 모듈에서의 처리 절차나 알고리즘 설계
3. 사용자 인터페이스 설계 : 사용자가 시스템을 사용하기 위해 보여지는 부분 설계
4단계 : 구현
5단계 : 테스트
1. 단위 테스트
2. 통합 테스트
3. 인수 테스트
6단계 : 유지보수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