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정의 기록

Python의 재미있는 문법들/range, 연산, 함수란, 형변환, del, 값 할당, None, 축약형, input, split, """, \n, len 본문

공부/Python

Python의 재미있는 문법들/range, 연산, 함수란, 형변환, del, 값 할당, None, 축약형, input, split, """, \n, len

Chelsey 2022. 2. 7. 17:50
728x90

range

range(시작값, 끝값 + 1) 을 하면 시작값 ~ 끝값까지의 범위이다.
끝값 + 1은 포함되지 않기 때문에 어디까지 값을 포함하고 싶은지 유의해야한다.

;

; 세미콜론으로 여러 문장을 구분할 수 있다. 예를 들어서

a = 1
b = 2

a=1; b=2

이처럼 두 줄을 한줄로 쓸 수 있다. 

a=1, b=2 와 같은 모양으로 보인다...

연산

나눗셈

연산 결과는 4종류가 있다.

  1. a//b
    몫만 나오게 한다. 소수점은 나타내지 않는다. 
  2. a**b
    a의 b승
  3. a%b
    나머지만 나오게 한다.
  4. divmod(a, b)
    몫과 나머지를 다른 변수에 저장하거나 배열로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 = divmod(4,2) 라면, a[0]은 2가 되고 a[1]은 0이 된다.
    a, b = divmod(4, 2) 라면 a=2이고 b=0 이다.

함수

def 함수명():
	함수

함수는 기본적으로 위와같은 형태를 띄며 사용할 때는

함수명()

이라고 하면된다.

type() 함수

만약 해당 변수의 type을 알고 싶다면

type(a)

type() 함수를 사용할 수 있다.

형변환 함수

정수의 결과를 내고 싶다면 정수인 4 + 실수인 3.0 의 경우 int로 결과를 내기 위해서 

int(4+3.0)

를 사용할 수 있다. 

물론 변수를 int(a) 이처럼 넣을 수도 있다.

float(a)
int(a)
str(a)

 

그리고... 다른 언어와 달리...! 

#x와 y값이 서로 교환이 되도록 해보자
#보통 다른 언어에서는 이렇게 한다.
t=y
y=x
x=t
#파이썬에서는 이렇게 가능하다.
x, y = y, x

print(x)
print(y)

del 

저장된 변수를 메모리에서 삭제한다.

del 변수명
del a

메모리 상에 너무 많은 변수가 올라가있으면 불편함이 있을 수 있으므로 

사용하지 않는 변수는 삭제하는 것이 좋다.

None == Null

값이 없다!

 

축약형을 사용하는 이유는....?!

메모리에 저장된 후 cpu가 연산을 하는데, 축약될 수록 저장되는 것이 줄어든다.

list comprehension, lambda 함수가 그 예이다.

input

값을 입력하는 방법 

i = input("숫자 쓰3")

Split

분리하기.

공백으로 문자열을 분리하여 값을 할당한다.

분리하는 해당 기준은 출력하지 않는다. 공백이 기본임.

a, b = x.split()
# x라는 문자열을 공백을 기준으로 a, b 변수에 나누어 할당한다.

따옴표의 갯수에 따른 출력

x = """hi"""
# 출력 -> hi

x= """Life
is
good
"""
# 출력 ->
# Life
# is
# good

x='here's'
# 출력 -> error

she='"Python is easy." she said'
# 출력 -? "Python is easy." she said

python="Life\n is too\n short"
# 출력 -> 
# Life
# is too
# short

""" 를 " 와 같이 본다.

줄바꿈을 하면 인식한다.

하지만 '' 안에 ' 하나가 있는 것은 용납못한다.

'' 안에는 "" 가 있거나 "" 안에는 '가 있어야 한다.

\n을 쓰면 해당 위치에서 줄바꿈이 된다.

len

length의 약자. 길이를 알려준다.

s="life"
b=len(s)
print(b) # 4

print(s[-1]) # 맨뒤에서 첫번째 문자

# 범위 설정
s="Life is too short"
print(s[5])
print(s[5:]) # index 5번째 ~ 마지막
print(s[:3]) # 처음부터 ~ index 3번째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