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정의 기록
생활속의 경제(1. 경제학의 기본 개념) 본문
경제란 무엇인가?
돈과 관련된 개념? 보다는
재화를 생산, 분배, 소비하는 인간의 모든 활동, 그리고 그를 둘러싼 질서나 제도
경제주체 : 가계(household)(재화 소비, 정부에 세금), 기업(firm)(재화 생산, 정부에 세금), 정부(fovernment)(재화 소비, 세금 지출), (+해외부문) → 시장임(해외 포함하면 거시 경제가 되는 것)
이들의 연관 속에서 종합적으로 파악
동양 : 경세 제민 에서 경제가 나옴 , 세상을 다스리고 국민을 편안하게 만든다.
서양 : Economy의 기원(고대 그리스 상류 계급 Oiko(household) Nomos(management)에서 유래)
옜날의 국가는 가계에 지나지 않았기에 국가나 가계나 같은 용어를 썼다. 집안 살림 의미
경제문제
공통된 경제 문제(Paul Samuelson)
- 무엇을 얼마나 생산할 것인가? (생산량)
- 어떤 방식으로 생산할 것인가?
- 누구를 위해 생산할 것인가? (경제 주체)
희소성과 기회비용
희소성(scarcity) :
부족함, 경제의 문제는 희소성에서 비롯되어서(원하는 것을 갖지 못 했을 때부터 발생된다) 선택의 문제에 직면한다.
- 자유재 : 누구나 공짜로 사용할 수 있는 재화, 가격이 형성, 거래되지 않는다.
- 경제재 : 욕구에 비해 자원의 존재량이 적어, 희소성이 있는 재화
- 자유재에서 경제재로의 변화 : 시대에 따라 변화 가능 (ex. 물)
경제학 :
- 인간에게 주어진 희소성 자원을 어떻게 배분할 지 선택
- 개개인의 선택이 사회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연구하는 학문
희소성은 개인의 욕구와 상황에 따라 변할 수 있다.
경제 주체(economic agent) : 가상의 존재 , 이기적이고 합리적인 존재로 가정(self-interest, 내가 손해보지 않는...)
수단 합리성 : 최소의 비용, 최대의 효과(만족)를 얻는 수단을 찾는 문제, 어떤 목적을 달성하고자 하는지 묻는 것=윤리학의 영역
기회비용(opportunity cost) : 하나를 선택할 때 포기한 다른 대안 중 가장 가치가 큰 대안(a best alternative)
경제적 비용: 기회비용의 개념
회계적 비용: 실제 소모된 비용만 고려
ex. ~하지 않았더라면 ~해서 돈을 벌 수 있는데 → 가설의 비용 모두 포함
매몰 비용 : 현재 시점에서 어떤 선택을 하든 회수 불가능한 비용 , 이미 비행기 표를 끊어버린 경우 비행기 표는 경제적 의사결정 시 절대 고려하지 않는다.
경제학의 정의
Alfred Marshall의 경제학 정의(1890)
- 정치경제학 혹은 경제학은(political economy, economics)생활상의 일상 업무에 종사하는 인간의 연구
- 복지 , 물질
Lionel Robbins의 경제학 정의(1932)
- 한정된 자원과 무한한 욕구 사이 관계(희소성)로서 인간의 행동을 연구하는 과학이다.
- Marshall에 대한 비판과 주장
- 경제학의 범위를 물질로 한정함
- 복지 관점에서 정의함(마약과 같은 것들은?, 복지는 개인의 의견이 들어갈 수 있음)
- 가치판단이 배제된 사실만 추구할 것을 제안
- 경험적 분석과 선험적 분석의 상호 보완성을 주장
통상적 경제학 교재 상의 정의
인간의 물질적 욕구 충적을 위해 희소한 자원을 어떻게 활용할 것인가를 연구하는 학문
경제모형(economic model)
경제를 분석하고 예측하기 위해 경제이론에 따라 고안된 개념의 틀
실제 시스템을 목적에 맞게 대표
시스템의 작동원리를 이해
우리가 관찰한 패턴 설명
변화에 따라 시스템이 어떻게 변하는 지 예측
경제 모형의 구성
문자화된 언어, 대수와 그림, 수식 등
경제모형의 도구
이론(theory) : 인간이 어떻게, 왜 그렇게 행동하는지 분석
통계(statistics) : 자료를 축적
경제순환모형
주요 가정 : 경제주체는 가계(상품, 서비스 소비, 생산 요소 보유)와 기업(상품과 서비스 생산, 생산 요소 구입)으로만 구성
생산물과 생산요소의 양을 결정하는 메커니즘
가계 - 효용을 극대화하는 상품의 수량을 선택 / 생산요소 공급
기업 - 이윤을 극대화하는 생산량 결정 / 생산요소 고용
파레토 최적(Pareto optimal)
다른 주체들의 만족을 희생하지 않고는 어느 누구의 만족도 더 이상 높일 수 없는 상태
경제학의 구분
미시경제학
경제 주체들의 경제 행위 분석, 경제문제 해결의 평가에 관한 내용을 다룬다.
거시경제학
경제주체들의 의사결정을 기반으로 하나, 한 나라의 경제 전체를 다루는 분야 → 물가, 국민소득, 고용 ...
실증경제학
경제현상을 설명할 때 주관적 가치관이 포함되지 않고, 현실에서 얻어지는 자료로 진위 판별
ex. 거주 지역 이동수... 데이터를 이용한다.
규범경제학
경제현상의 주관적 평가, 평가자의 주관적 가치관 내포
ex. 복지제도를 어디까지 할것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