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정의 기록

Python/datetime 함수 본문

공부/Python

Python/datetime 함수

Chelsey 2022. 2. 12. 11:12
728x90
import datetime  

# 현재 시간 출력
datetime.datetime.now()
패키지.(클래스)객체.메소드()
from datetime import datetime

# 지금 이순간
datetime.now() 
datetime.today()

# 특정날
datetime(1995,2,2)
# 시분초, 설정하지 않으면 0으로 나옴

a.year
a.month
a.day
a.hour
a.minute
a.second
a.microsecond

# 요일 관련 메소드
a.weekday() 
# 월요일=0 일요일=6
import datetime as dt
a=dt.datetime.now()
a

dtype

date는 object가 아닌 dtype으로 설정할 수 있다.

날짜속성을 원한다면 dtype으로 관리하는게 더 쉬울 것이다.

해당데이터.dated=pd.to_datetime(해당데이터.dated)

파일을 읽을 때 설정하는 법은, parse_dates를 사용한다.

pd.read_csv('./...csv', parse_dates=['Date'인 것])

strptime()

문자열로된 날짜데이터를 '날짜 객체'로 생성할 때 아래와 같은 사용이 가능하다.

# a에 담긴 정보에 대해서 
a.strptime("Today is %A %d, %B %Y")
# 'Today is Monday 1 , Jen 2022'

dt.datetime.strptime("2021-07-19 13:50", "%Y-%m-%d %H:%M")

날짜 차 구하기 (D-day)

수칙연산이 가능하다 (dt2-dt1)

import datetime as dt

# 기준날짜 설정
# timedelta, datedelta
dt1=dt.datetime(2022,1,19,14)
dt2=dt.datetime(2022,1,22,18)

# 두 날짜의 차
td=dt2-dt1

print(td.days) # 날짜 단위로 변환, 3
print(td.seconds) # 초단위로 변환, 14400
print(td.total_seconds()) # 전부 초단위로 변환
print(3*24*3600+4*3600)

 

추가로, 

series 에서 timestamp 날짜 관련 속성 이용하는 법!

datetime 속성을 이용할 수 있다!

원래 해당 column의 속성을 ( exam['Date'].score )  와 같은 형식으로 호출할 수 있지만, Date타입의 경우 오류가 난다.

exam['Date'].datetime.score 와 같이 datetime을 함께 사용해야 호출이 가능하다.

728x90